한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더위 입하. 24절기중 7번째 절기 입하는 음력4월,양력으로는 5월6일 무렵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45도에 이를 때다. 이번 글에서는 입하의 뜻과 날짜 의미와 유래를 알아보자.
입하 뜻
입하는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 말고도 '보리가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고 하여
'맥량' '맥추' 또는 초여름을 의미하는 '맹하' '초하' '괴하' '유하'라고도 불린다.
또한 우리 선조들은 이무렵을 '녹음방초'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 뜻은 잎이 푸르게 우거진 숲과 향기로운 풀이라는 뜻으로 초여름의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
이 말처럼 입하 때가 되면 봄이 완전히 물러가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하며,지렁이가 땅에서 나오고 개구리와 뻐꾸기 울음소리가 나는 때가 바로 이쯤이다. 해가 뜨면 나비들이 날라다니고, 해가 지면 반딧불이 밤길을 비처준다. 산에는 꽃이 피고 소나무의 송화가루가 온 천지에 휘날리며 여름기운이 일어 여름작물이 자리잡는 바로 그 때가 입하다.
풍속
옛날 말에 "입하물에 써레 싣고나온다." 있다. 이는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 농가에서 들로 써레를 들고온다는 말로 입하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논봉기에 접어드는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모는 모자리를 만들어 키우는데, 이때 바람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 그이유는 바람이 불면 모씨들이 한쪽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모자리에 물을빼 피해를 방지하라는 의미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속담이 전해진다.
본격적인 농사철로 접어들면서 농부들은 여름 작물을 돌보는한편 논밭에 병충해를 방지하고 잡초가 무성해지기 전에 풀을 뽑느라 분주해진다. 여름 문턱에 들어섯다고 하지만 상간지방에서는 간혹 우박이나 녹색아람으로 농작물이 해를 입는경우가 있어 그야말로 농가에 고댄일정은 잠시도 쉴틈이없다.
우리 선조들은 이무렵,가장먼저피는 이팝나무 꽃으로 한해 농사에 풍횽을 점쳤다. 이팝나무 꽃이 한꺼번에 잘 피면 그해 풍년이 들고 신총치 않게 피면 흉년,시름시름 피면 가뭄이 심할 징조라 여겼다.
또한 이날, 쌀가루와 쑥을 한대모아 머무려 만든 쑥더무리 떡을 절식으로 즐기는 풍습이 전해저온다.
우리는 흔히 여름하면 더위를 떠올린다. 바로 이더위가 있어야 농사가 된다. 그래서 입하는 농사에 재철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