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페이
제로 페이는 소상공인의 가맹점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공동 qr코드 방식에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입니다.
정부, 서울시, 지자체, 금융회사, 민간 간편 결제 사업자가 협력해서 만들었습니다.
소비자들은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이, 지역상품권을 구매해서 사용할 수 도 있고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제로 페이를 통해서 결제를 하면, 연매출 8억 이하 가맹점 수수료 0% , 연매출 8억~12억 가맹점 수수료 0.3%
연매출이 12억 초과인 경우에도 가맹점 수수료 0.5% 부과되지 않아 굉장히 좋다고 합니다.
이렇게 좋은 취지로 나왔는데도 지난 1년간 이용자가 극히 드물었던 제로 페이가 최근에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혜택이 좋아서 라기보다는 긴급재난지원금+이벤트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와 일부 지역들이 긴급재난지원금을 제로 페이를 통해서 지급을 했고 또 그에 따른 이벤트를 엄청 많이 쏟아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3월에 소비를 진작시킨다며,서울사랑상품권을 사는 사람에게 15%할인,5%캐시백 을 제공했고
긴급 재난지원금을 제로 페이를 통해서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신청하는 선착순 15,000명 에게 1만원권 추가제공을 했습니다. 그외 다양한 제로페이 이벤트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제로페이 혜택
제로페이 사이트에 있는 소비자 이용 혜택 카테고리에 가면 제로 페이에 장점이 세 가지가 나와있습니다.
소득공제 혜택 30% , 공공시설 할인 , 저렴한 가맹점 수수료 등이 있다.
서울시림 과학관 관람료 30% , 월드컵경기장 투여로 30% , 서울 상상나라 입장료 30% , 서울대공원 동물원 , 테마가든 입장료 30% , 서울식물원 온실 주제원 입장료 30% , 서울함 공원 입장료 체험료 10% , 남산예술센터 입장료 20% , 삼일로창고극장 입장료20% , 서울 자전거 따릉이 일일 권 50%, 따릉이 정기권 30%
사진
엄청난 할인은 아니지만 이미 저렴한 공공시설을 또 할인해주는 혜택
제로 페이 사용방법
제로 페이 모바일상품권 10%할인 구매하는 방법
제로 페이 어플을 다운받습니다. 앱스토어,구글플레이에서 '제로페이' 검색 후 가입하기
모바일 상품권 구입&결제 카테고리에 상품권 구매 클릭 실제로 이 화면에서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을 결제도 하고,
구매도 가능합니다. 상품권에 종류는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서울 사랑 상품권, 경상남도 상품권, 지역사랑 상품권 등이 있습니다. 구매 단위는 5,000 원부터 시작해 10만 원 까지 있습니다.
주의점으로는 구매일로부터 7일 이내에만 전액 환불이 가능하다는 점.
네이버 페이로 제로 페이 사용법
네이버 계좌 등록하기
본인의 은행을 선택, 계좌번호 등록, ARS 수신, 계좌 인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비밀번호 6자리 입력 후 QR코드를 인식해서 상품을 견제
계좌 등록이 완료되면 충전금액을 확인한다.
충전은 3만 원부터 가능하며 5만원 입금 시 1.5% 추가 입금혜택이 있습니다.
제로 페이 사용 가능 은행
제로 페이로 카카오페이 제로페이 사용 연동은 불가능한 점이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댓글